안녕하세요, 세이입니다. ^^
오늘은 조수사(助數詞) 중에 동물을 세는 단위인 마리(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제나 그렇듯 그림을 먼저 지그시 바라봐 주세요. ^^;
어라, 고양이가 있습니다. ㅡㅡ; 조금 이상해(?) 보이지만 고양이입니다. 마우스로 그리느라 힘들었으니 이해해주세요. ㅎㅎㅎ
일단, 마리(匹)를 나타내는 단어는 ひき(히끼)입니다. 그런데 그림을 보니 또 1, 3, 6, 8, 10에서 변형을 하는군요. 네, 숫자 뒤에 무성자음(k, s, t, h, p - か, さ, た, は, ぱ)이 왔습니다. 이제 조금 익숙하신가요. ㅎㅎ
그런데, 빨간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세 마리'에 있습니다. 자세히 바라보니 역시 변형이 있네요. ひき(히끼), ぴき(삐끼)도 아닌 びき(비끼)로 되어있습니다. 비슷한 예로, 숫자 천(千) 단위인 삼 천(3000)에서 さんぜん(산젠)으로 변화가 있었지요. 보통 천(千) 단위인 せん(센)이 '몇천(何千)?'에서는 なんぜん?(난젠)으로 변화가 되는데, 기억나시나요? 언제 배웠나 싶죠? ㅡㅡ; 그래서 다시 링크 걸어놓았습니다. 일본어 천(千) 단위 정리. 머~ 잊어버리면 어떻습니까! 다시 보고 알면 됩니다. ^^;
위의 세 마리(匹)도 같은 방식이 적용된 겁니다. 이제 조수사(助數詞)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법칙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숫자 다음에 무성자음(k, s, t, h, p - か, さ, た, は, ぱ)이 오면 1, 3, 6, 8, 10에서 변화가 있는데, 1, 8, 10은 항상 변화가 있고, 3과 6은 선택적이다.
2) 양을 나타내는 몇(何~)단위(なん~)는 3단위(さん~)와 읽는 방법이 같다.
이제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조수사(助數詞)는 꽤 다루었기에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천천히 살펴보시고, 다른 조수사들과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익히세요.
그럼, 전 다음 시간에 ...
'그림으로 배우는 일본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배우는 일본어 - ん 발음(撥音) 변화 (0) | 2018.03.13 |
---|---|
그림으로 배우는 일본어 - 서수 (序數, ~つ) (0) | 2018.03.12 |
그림으로 배우는 일본어 - っ 촉음 변화 (0) | 2018.03.09 |
그림으로 배우는 일본어 - 층 (階, かい) (0) | 2018.03.08 |
그림으로 배우는 일본어 - 나이 (歲, さい) (0) | 2018.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