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이입니다. ^^


이번 시간엔 숫자 100이상을 읽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어로 숫자 ()을 뜻하는 단어는 ひゃく(햐쿠)라고 합니다. 그냥 숫자의 한 단위이니 그대로 가면 좋을 텐데, 역시 쉽게 가지 않습니다. ㅡㅡ;


문제는 앞에 나오는 숫자에 따라 ひゃく(햐쿠)의 발음이 바뀐다는 겁니다


우선 삼백(300) 단위에서 삼(3)인 さん(산)이 오면 ひゃくゃく()로 바뀌고, 육백(600) 단위에서는 육(6)이 ろく(로쿠)가 아닌 ()으로,  ひゃく ゃく(뺘쿠)로 바뀌며, 마지막으로 팔백(800) 단위에서 팔(8)은 はち(하치)가 아닌 ()으로, ひゃく ゃく()로 바뀝니다.  ((@.@)) 하~~


위의 그림을 보면서 다시 정리해 보겠습니다.  ㅡㅡ^


그림을 보면 100에서 900까지의 숫자가 있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100) 단위는 ひゃ(햐쿠)라는 단위를 씁니다. 예를 들어, 101이라고 하면 ひゃくいち(햐쿠이치)가 됩니다. 나머지 숫자를 바꾸는 방법은 (10) 단위와 마찬가지이고, 한국어와 어순이 같으므로, 여기까지는 지난 시간 강의들을 보신다면 어렵지 않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문제아(?)들은 300, 600, 800단위에 있습니다. 물론 이 단위에서 발음이 바뀌는 건 일본어 특징에 의해 발음을 원활하게 하고자 변하는 건데, 배우는 외국인들에게는 정말 익히기 힘든 일입니다. 이런 데서도 한글의 편리함이 돋보이는군요. ^^


자, 천천히 보겠습니다. 


300단위에서는 3을 뜻하는 さん의 변화는 없고, 단지 ひゃく(햐쿠)ゃく()로 바뀌는 겁니다. 근데 600단위에서는 6을 뜻하는 ろく(로쿠)()으로 바뀌고, ひゃく(햐쿠) 또한 ゃく()로 바뀐다는 것이며, 800단위에서도 600단위와 마찬가지로, 8はち(하치)()으로, ひゃく(햐쿠)ゃく()로 바뀝니다. 하~~


쉽지 않아! 쉽지 않아! ㅎㅎ


일단 원리만 기억해 두시고, 다음 시간에 숫자를 활용해 보면서 조금 더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그럼 천천히 응용해 보세요. 




 


+ Recent posts